1. 생식세포형성
2. 배란, 난자와 정자의 수송
3. 수정과 난할
4. 난할과 포배
5. 착상과 자궁 수용성
6. 낭배형성
7. 기관형성
1. 생식세포형성
1단계 생식세포의 배아 외 기원과 생식소로의 이동
2단계 체세포분열을 통한 생식세포의 수적 증가
3단계 감수분열을 통한 염색체수 감소
4단계 난자(알)와 정자의 구조적 기능적 성숙
1. 생식세포의 기원과 이동
원시생식세포
상배엽 뒤쪽에서 관찰되며 이후 배아외막에서 증식하여 이동합니다.
수정 후 24일에 난황낭 이동
난황낭(100) → 후장 상피 → 생식소(4000)
1.생식세포의 기원과 이동
원시생식세포의 이동
2. 여성생식세포 : 난원세포
배아 난소에서 엄청난 체세포분열 활성(몇 천 개)
임신 2개월에서 5개월이 되면서 7백만 개
임신 5개월부터 많은 수의 난원세포가 자연적 퇴화인 폐쇄(폐경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를 합니다.
2. 남성생식세포 : 정원세포
체세포분열이 배아 정소 초기시기에 시작하여 일생 동안 지속됩니다.
3. 감수분열에 의한 염색체 수 감소
중요성
염색체 수가 이배체에서 반수체로 감소
모계 염색체와 부계 염색체의 재편성
교차에 의한 모계와 부계 유전 정보의 재분배
4. 정자와 난자(알)의 형성과 기능적 성숙
정자형성과 정자성숙
정자변형
핵 크기 감소
세포질 재배열
→첨체 : 골지체
→편모
→마이토콘드리아 재배치
세정관의 정자
운동성이 없고 난자에 수정할 수 없습니다.
기능적 성숙
생화학적 반응 →부정소 →전립선과 정낭 분비물과 혼합
난자성숙과 난포성숙
1. 2차 난포
FSH - 난포(여포)자극호르몬
→과립세포(GC)에서 에스트로겐 합성분비
LH - 난포형성호르몬
→난포막세포가 안드로겐 합성분비
→GC에 LH 수용체 발현
→GC가 LH 급증에 반응
2. 3차 난포
3. 배란 전 난포
배란 시기에 왜 오직 한 개의 난포만이 정상적으로 성숙하는가?
시상하부문맥계
2. 배란, 난자와 정자의 수송
1. 배란
여성에서(질 상부에서 수란관 팽대부까지)
질 : 정액에 대한 버퍼리 능력
자궁경부 : 조성과 점성의 변화
3. 수정과 난할
2. 정자와 난자의 결합과 융합
결합
막 융합
난자의 원형질막과 정자 두부 막
4. 난할과 포배
5. 착상과 자궁 수용성
6. 낭배형성
5. 난항낭의 형성
체측내배엽 : 하배엽 세포
배아 외 중배엽
체측내배엽과 원조 유래 세포 변형
*영양배엽은 장막으로 됨
2.낭배형성과 3배 엽층
낭배형성(임신 3주 차)
상배엽으로부터 3개의 배엽층(내배엽, 중배엽, 외배엽) 형성
파충류와 조류의 낭배형성과정이 유사
원조의 형성으로 시작
원조 형성
상배엽 세포가 원조로 이동 →원구 형성
→상피세포에서 간충직 세포로 특성 변화하여 개별적으로 이동할 수 있음(세포 간 부착 분자 상실)
원조의 앞쪽 끝 부분으로 많은 세포가 축적 →헨젠결절 형성 → 척삭(원조 밑부분에 배열된 막대모양으로 모여있는 간충진 세포 덩이) 오 척삭 앞판을 구성하는 통로 역할을 함
3. 배아외막
7. 기관형성
신경 유도의 복잡성
매우 정교한 부위별 특성화
→뇌의 앞부분으로부터 뒷부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척삭의 각 부위로부터 다양한 유도자가 있음을 의미함
출처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전용필 <태아발달>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생리 (0) | 2023.10.23 |
---|---|
울산 가볼만한 곳 `울산테마식물수목원' (2) | 2023.10.20 |
울산 태화강 국가정원 맛집 `차차돈까스' (1) | 2023.10.18 |
하늘을 나는 꿈 해몽 68가지 (2) | 2023.10.17 |
부산 차이나타운 맛집 '신발원' (2) | 2023.10.13 |